러시아 출신 난민들(‘렐로칸트’)은 왜 아르메니아를 선택하였는가?

 

 슬랩첸코 바딤(아시아연구소)

아르메니아에는 현재 약 11만 명의 러시아 출신 난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이들은 대부분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 이후에 이주해 온 사람들이다그중에는 사회단체 활동가정치인언론인들이 있는데 이들이 이민을 선택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정치적 박해에 대한 공포였다그 배경으로 2022년 3월에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 특별군사작전에 관한 가짜 뉴스를 확산할 경우 최대 15년의 징역형으로 처벌하는 법을 제정했다실제로는 러시아 출신 난민들의 상당수는 징집 기피 난민들이다. 2022년 9월 21일에 푸틴 대통령이 부분적 동원령 발령 후 동원 대상이 되는 남성들을 대거 러시아를 떠나기 시작하였다.

현재 해외로 떠난 러시아 전쟁 난민들을 위해 렐로칸트(релоканты)’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렐로칸트라는 용어는 영어의 relocation에서 유래되었다일반적으로 relocation은 특정 기업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때 해당 지역에서 현지 직원을 채용할 때까지 본사에서 직원을 파견하는 제도를 의미하는 것이다따라서 렐로칸트는 러시아어로 파견 근무하는 직원을 의미한다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얀덱스를 비롯한 많은 러시아 IT기업들은 한편으로 경제 제재를 피할 목적으로또 한편으로는 자사의 남성 직원들이 전쟁에 동원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으로 직원들을 부서 단위로 해외로 파견하는 정책을 선택하였다처음에 이런 사람들만 렐로칸트라고 부르다가 나중에 해외에 거주하는 모든 러시아 전쟁 이민자들을 렐로칸트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이들이 주로 이주한 국가들은 러시아가 무비자협정을 체결한 국가들이지만 그 중에 상당수는 아르메니아에 정착하였다많은 나라 중에 아르메니아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보다는 러시아인들의 정주에 적합한 체류 및 취창업에 대한 조건이다현재 아르메니아에 입국하는 러시아인들은 180일 동안의 무비자로 체류할 수 있다게다가 아르메니아 경우에 입국을 위해 해외 여권이 아예 필요 없고 국내 여권으로도 입국이 가능하다러시아 국내 여권으로 입국이 가능한 국가들은 아르메니아벨라루스카자흐스탄키르기즈스탄압하지야남오세티아이이며이 제도는 국내 발급 신분증 상호 인정에 관한 국제 협약을 체결한 국가에만 해당된다뿐만아니라 아르메이나에 거주하는 러시아인들은 거주지등록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거주지 등록만 하면 180일마다 출굴 할 필요 없이 무제한 아르메니아에 살 수 있다또한아르메니아에 거주하는 러시아인들는 소셜 카드(соцкарта)를 발급받으면 취업이 가능하다이를 위해 신분증만 제시하면 된다아르메니아는 유라시아 경제 연합(Евразийский экономический союз)의 회원국이기 때문에 러시아 시민들은 아르메니아 시민과 동일한 조건으로 아무런 제한 없이 취창업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아르메니아로 이주한 러시아인들은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난민으로 정의하기 어렵다다른 난민들과 달리 이들은 수용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급 인력이다앞으로 러시아 출신 난민들은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더 나아가 수용국 경제에 적극적인 참여 여부는 아르메니아 정부에 달려 있다.